
UI 라이브러리 제작기
며칠 전 처음으로 UI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npm에 배포까지 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UI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02.04
FE 개발자 YUN의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Javascript / React / Next.js 등 FE 개발 스택 이야기
FE 개발자로서 고민하고 깨달은 것 등(이를테면 삽질한 기억이라거나 ⛏️😇)
여러가지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자주 놀러와주세요 👋
며칠 전 처음으로 UI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npm에 배포까지 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UI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02.04
2025년 새해가 밝고, 어느덧 설날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4년에 제가 무엇을 하며 지냈는지 연말 결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TMI 대잔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2025.01.29
어느새 여름 지나 가을이 되었습니다. 9월도 여전히 더웠지만 무더위는 사그라들었습니다. 덕분에 여름 내내 하던 강제 미라클 모닝을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잠은 조금 늘었지만 그럼에도 이것저것 많은 일들을 한 것 같습니다. 그럼 9월 한 달간 무슨 일을 하며 지냈는지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10.02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보면 클로저를 접하게 됩니다. 책 혹은 유튜브 영상에서 자주 볼 수 있고 특히 프론트엔드 기술 면접 리스트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손님입니다. 오늘은 과연 클로저란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9.25
자바스크립트는 한 번에 하나의 일만 처리할 수 있는 싱글 스레드 언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보면 어떤가요? 데이터를 가져오는 동안 다른 함수를 실행할 수 있고 setTimeOut으로 지정한 시간 뒤에 특정 함수를 실행시키려 할 때 다른 함수가 바로 실행되는 등 동시에 여러 일을 처리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는 런타임 환경인 브라우저가 비동기 작업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브라우저에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이벤트 루프(Event Loo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9.16
블로그를 배포하며 그동안 느낀 생각을 회고해봅니다. 블로그를 만드는 과정 자체는 재밌었지만 막상 배포하는 것은 왜 계속 망설여졌는지, 앞으로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해 나갈 예정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2024.09.02
이전에 변수 이야기를 하며 호이스팅, 스코프 체인 이야기를 언급했는데요.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실행 컨텍스트를 알게 되면 많은 궁금증이 풀리게 됩니다. 얼른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러 갑시다.
2024.08.12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를 사용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아마 생각과 다른 값이 나와 당황스러우셨던 적도 있을 것 같은데요.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값이 동적으로 바인딩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잘 알아두지 않으면 함정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this 바인딩에 대해 정리해보며 함정을 슉슉 피할 수 있는 슈퍼 개발자가 되어보겠습니다.
2024.08.08
2025.03.06
2025.03.06
2025.03.06
2025.03.05
2025.02.04
2025.01.29
2024.12.30
2024.12.28
2024.12.28
2024.12.27